모유수유 음식
![]() |
수유 중 음식섭취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? |
산모는 임신중에는 일반인보다 하루에 300칼로리가 더 필요하지만 수유중에는 하루에 500칼로리가 더 필요합니다. 주로 신선한 야채, 과일 섭취와 더불어 탄수화물, 단백질, 그리고 지방의 섭취 순서로 합니다. 그리고 균형잡힌 식단이 중요하며, 특히 칼슘과 철분이 많은 음식을 먹도록 합니다.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하루에 필요한 수분 섭취량은 8컵 정도지만 산모가 목이 마를 때 마다 마시도록 합니다. 만일 소변 색깔이 농축되거나 변비가 있으면 수분 섭취를 늘려야 합니다. 수유 중 피해야 할 음식 ⓐ 수유 중 산모가 피해야 할 음식은 따로 없습니다. 그러나 산모나 가족 중 어떤 음식 (주로 우유, 계란, 감귤류 등)에 알러지가 있을 때 아기에게도 알러지 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. ⓑ 수유를 하는 산모가 지나치게 마신 우유 때문에 아기가 복통을 일으킨 경우도 있습니다. ⓒ 동양에서는 찬음식(과일, 수박, 콩나물, 죽순 등)은 피하고, 더운 음식(닭고기, 호박, 브로컬리 등)을 줍니다.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양파, 양배추, 완두콩, 칼리플라워 등이 복통, 설사, 피부발진 등을 일으킨다고 믿고 있습니다. ⓓ 수유량을 늘리는 음식으로 미국 풍습에서는 맥주, 중국은 닭국, 뉴기니아는 생선국, 그리고 한국에서는 미역국을 섭취합니다. ⓔ 산모가 피해야 하는 것은 술, 담배, 커피, 카페인이 들어있는 차, 그리고 청량음료 등입니다. 커피(초코렛도 포함)나 청량음료를 즐기는 산모는 밤에 아기가 잠을 잘 자지 않으므로 함께 놀아주어야 합니다. 또한, 커피, 차, 알콜, 청량음료 등을 수분섭취를 위해 마시지 말아야 합니다.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것들이 이뇨효과를 내기 때문에 탈수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 ☞ 잠깐 ☜ 요즈음 세계적으로 다이옥신 문제가 심각합니다. 모유에까지 다이옥신이 들어있다는 충격적인 보고도 있었습니다. 농약이나 공해에 오염된 육류, 생선, 과일, 채소 등은 피해야 합니다. 과일과 채소는 흐르는 물에 잘 헹궈내고, 생선 껍질이나 육류의 지방부분에 화학물질이 축척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러한 부분을 제거한 후 먹도록 합니다. 한방에서 추천하는 젖분비 촉진음식 예전부터 산후에 젖 분비의 촉진을 위해서 미역국을 먹어왔습니다. 미역국은 수분섭취와 더불어 옥도와 단백질이 풍부하고, 쇠고기와 함께 끓인 것은 빈혈치료까지 해 주기 때문입니다. ⓐ 돼지족 1개와 통초(약초의 일종)혹은 흰 파뿌리 200g을 함께 끓여서 국으로 마십니다. ⓑ 상추씨 1컵을 가루를 내고, 찹쌀 1컵, 감초가루 약간을 넣어 죽을 끓여 먹습니다. ⓒ 원추리 어린 순을 나물로 먹거나 국을 끓여 먹습니다. ⓓ 참깨가루 30g, 현미 30g, 물 3컵을 넣고 끓여, 양이 반으로 줄어들면 마십니다. ⓔ 민들레 전체를 말린 것 10g에 물3컵을 부어 끓여서 양이 반으로 줄면 하루에 3회 마십니다. ⓕ 호박씨 볶은 가루 120g에 물을 타서 30g씩 하루에 1번씩 마십니다. ⓖ 팥을 삶은 물이나 팥죽을 먹습니다. ⓗ 통초 20g에 물 30ml를 넣어 달여 먹습니다. ⓘ 식혜나 수정과는 젖분비를 방해합니다. ⓙ 산후 출혈로 빈혈이 있는 사람은 감이나 도토리 묵은 피합니다. 탄닌(떫은맛)이 철분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입니다. ⓚ 유선염에 걸렸을 때는 벚꽂나물을, 훗배앓이의 경우 산사자, 계피, 물, 흑설탕을 넣어 끓여 먹습니다. 염소는 보양식품으로 권하기도 합니다. |
'☆육아정보_childc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유양.함몰유두 (0) | 2008.10.01 |
---|---|
미숙아나 쌍둥이에게 모유수유하기 (0) | 2008.10.01 |
제왕절개.직장여성의 모유수유 고민 (0) | 2008.10.01 |
모유수유에 대한 애로사항 (0) | 2008.10.01 |
젖 짜는 법 (2) | 2008.10.01 |
모유수유 노하우 (0) | 2008.10.01 |
모유수유 첫걸음 (0) | 2008.10.01 |
모유의 장점 (0) | 2008.10.01 |
엄마젖 먹이기 궁금증 (0) | 2008.10.01 |
육아 예방접종표 (0) | 2008.10.01 |